[영어 표현] 외래어 표기 - Meg Ryan, iPod, bag
※ 이 글은 제가 여러 자료를 읽고 더 검색하며 알아본 것을 토대로 쓴 것입니다. 제가 언제든 다시 참고하기 위해 정리합니다. 제가 잘못 알았을 수도 있으니, 참고하실 때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0년 쯤에 안정효 씨가 쓴 "가짜영어사전"을 읽었습니다. 내용 중 영화배우 Meg Ryan의 이름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에 대한 게 있었습니다. 보통은 '맥 라이언' 또는 '맥라이언'이라고 표기하는데, 이렇게 하면 자음동화(예전엔 자음접변)라는 연음법칙 때문에 '맹나이언'으로 읽히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메그 라이언'으로 표기하는 게 좋다고 했습니다.
저는 무척 감탄했습니다. 그 전까지는 '멕라이언'이라고 쓰고 발음은 최대한 Meg Ryan에 가깝게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메그 라이언'이라고 쓰는 건 생각도 못했습니다. 그래서 iPad를 '아이패드'로, mug를 '머그'로 표기하는 것을 보고 잘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이런 표기라면 d나 g 발음을 최대한 살렸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여러 표기가 있어서 종종 신경이 쓰였습니다. 몇가지만 예를 들겠습니다.
그렇게 관용을 인정한 것의 다른 예로는 bag를 '배그'가 아닌 '백'으로 하고, bigbang을 '비그뱅'이 아닌 '빅뱅'으로 하고, America를 '어메리카'가 아닌 '아메리카'라고 하는 것 등이 있다고 합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저는 bag와 back 모두 '백'이라고 쓰는 것에 여전히 마음이 불편합니다. mug를 '먹'이라고 하지 않고 '머그'라고 하는 게 가능한데, bag를 '백'이라고 하지 않고 '배그'라고 못할 이유는 없는데, 이미 널리 그렇게 쓰이고 있어서 앞으로도 그렇게 쓰자는 데 선뜻 공감하기가 어렵습니다.
※ 2018년 9월 20일에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서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찾았고, 아래가 그 내용 일부입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한번 보셔도 됩니다.
(2000년 당시 표지. https://goo.gl/UXFCzM) |
(2006년 개정판 표지, https://goo.gl/8in7Xe) |
2000년 쯤에 안정효 씨가 쓴 "가짜영어사전"을 읽었습니다. 내용 중 영화배우 Meg Ryan의 이름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에 대한 게 있었습니다. 보통은 '맥 라이언' 또는 '맥라이언'이라고 표기하는데, 이렇게 하면 자음동화(예전엔 자음접변)라는 연음법칙 때문에 '맹나이언'으로 읽히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메그 라이언'으로 표기하는 게 좋다고 했습니다.
저는 무척 감탄했습니다. 그 전까지는 '멕라이언'이라고 쓰고 발음은 최대한 Meg Ryan에 가깝게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메그 라이언'이라고 쓰는 건 생각도 못했습니다. 그래서 iPad를 '아이패드'로, mug를 '머그'로 표기하는 것을 보고 잘 되었다고 느꼈습니다. 이런 표기라면 d나 g 발음을 최대한 살렸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다가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여러 표기가 있어서 종종 신경이 쓰였습니다. 몇가지만 예를 들겠습니다.
- iPad는 '아이패드'로 쓰고, 'iPod'는 '아이팟'으로 쓰는 것
- mug'는 '머그'로 쓰고, bag는 '백'으로 쓰는 것
그렇게 관용을 인정한 것의 다른 예로는 bag를 '배그'가 아닌 '백'으로 하고, bigbang을 '비그뱅'이 아닌 '빅뱅'으로 하고, America를 '어메리카'가 아닌 '아메리카'라고 하는 것 등이 있다고 합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저는 bag와 back 모두 '백'이라고 쓰는 것에 여전히 마음이 불편합니다. mug를 '먹'이라고 하지 않고 '머그'라고 하는 게 가능한데, bag를 '백'이라고 하지 않고 '배그'라고 못할 이유는 없는데, 이미 널리 그렇게 쓰이고 있어서 앞으로도 그렇게 쓰자는 데 선뜻 공감하기가 어렵습니다.
※ 2018년 9월 20일에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서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찾았고, 아래가 그 내용 일부입니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한번 보셔도 됩니다.
제1장 표기의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제2장 표기 일람표 (표가 있는데, 여기서는 생략) 제3장 표기 세칙 제1절 영어의 표기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제1항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제2항 유성 파열음 ([b], [d], [g])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제3항 마찰음 ([s], [z], [f], [v], [θ], [ð], [ʃ], [ʒ])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제4항 파찰음 ([ʦ], [ʣ], [ʧ], [ʤ])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ʦ], [ʣ]는 '츠', '즈'로 적고, [ʧ], [ʤ]는 '치', '지'로 적는다.
2. 모음 앞의 [ʧ], [ʤ]는 'ㅊ', 'ㅈ'으로 적는다.
제5항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ㆁ'으로 적는다.
제6항 유음 ([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제7항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제8항 중모음 ([ai], [au], [ei], [ɔi], [ou], [auə])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제9항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제10항 복합어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제2절 이후는 생략) |
댓글
댓글 쓰기